맨위로가기

샤를 페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를 페로는 프랑스의 작가로, 프랑스 파리에서 부유한 부르주아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루이 14세 시대의 문학을 지지하며 신구 논쟁에 참여했고, 베르사유 궁전 설계에 관여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1697년에는 '거위 할머니 이야기'를 출판하며 동화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그의 작품은 '신데렐라', '잠자는 숲 속의 미녀', '빨간 모자' 등 오늘날까지도 널리 읽히며,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샤를 페로 - 클로드 페로
    클로드 페로는 프랑스의 의사이자 철학자, 건축가로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하며 루브르 박물관 동쪽 파사드 설계에 참여해 '페로의 열주'를 남기고 파리 천문대를 설계했으며, 《건축 10서》를 프랑스어로 번역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 프랑스의 아동문학 작가 - 토미 웅거러
    토미 웅거러는 프랑스 출신의 삽화가, 작가, 디자이너로, 어린이 책과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통해 풍자와 에로티시즘을 다루었으며,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을 수상했다.
  • 프랑스의 아동문학 작가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프랑스 작가이자 조종사였던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는 『어린 왕자』를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공군 조종사이자 국제 항공 우편 업무 종사자,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 공군 복귀 후 비행 임무 중 실종된 인물이다.
샤를 페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샤를 르 브룅이 그린 샤를 페로의 초상화 (부분), 1670년경
이름샤를 페로
원어 이름Charles Perrault
출생일1628년 1월 12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왕국
사망일1703년 5월 16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직업작가
장르동화
주요 작품잠자는 숲속의 공주
빨간 모자
신데렐라
장화 신은 고양이
푸른 수염
친척피에르 페로 (형)
클로드 페로 (형)
마리-잔 레리티에 (조카)
발음
영어 발음페ˈroʊ
미국 영어 발음pəˈroʊ
프랑스어 발음ʃaʁl pɛʁo
기타
웹사이트샤를 페로 정보 (보관된 웹페이지)
참고 문헌Morgan, Jeanne. Perrault's Morals for Moderns. Peter Lang Publishing Inc., 1985. ISBN 0-8204-0230-3

2. 생애

샤를 페로는 1628년 1월 12일 프랑스 파리시의 부유한 부르주아 가정에서 태어났다.[3][4] 그의 아버지는 피에르 페로(Pierre Perrault), 어머니는 파케트 르 클레르크(Paquette Le Clerc)였으며, 형제 중 클로드 페로는 유명 건축가였다. 페로는 법학을 공부하여 1651년 오를레앙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변호사가 되었으나,[3] 곧 관직에 나아가 루이 14세 치하에서 장-밥티스트 콜베르 밑에서 일하며 다양한 학술 및 행정 활동에 참여했다.[5] 또한 당대 문학계의 주요 논쟁이었던 신구논쟁에서 '근대파'의 주요 인물로 활동했다.

1672년 마리 귀숑(Marie Guichon)과 결혼했으나 1678년 사별했다.[11] 1682년 관직에서 물러났고, 이듬해 후원자 콜베르가 사망하면서 공적인 활동은 줄어들었다.

이후 페로는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 글을 쓰기 시작하여, 1695년에는 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é프랑스어》(과거 이야기 또는 옛날 이야기)라는 제목의 동화집을 '어미 거위'(Mère l'Oye프랑스어)라는 부제로 출간했다. 이 책에는 《잠자는 숲 속의 미녀》, 《장화 신은 고양이》, 《빨간 두건》, 《신데렐라》 등 오늘날까지 사랑받는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이 동화집은 큰 성공을 거두며 페로에게 명성을 안겨주었고, 동화 장르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작품 속에 위세 성( Château d'Ussé프랑스어 )이나 와롱 성( Château de Oiron프랑스어 ) 후작 같은 실제 장소나 인물을 암시적으로 등장시키기도 했다.

샤를 페로는 1703년 5월 16일 파리에서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그의 동화들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2016년 1월 12일 구글은 그의 탄생일을 기념하여 그의 작품들을 주제로 한 구글 두들을 선보이기도 했다.[14]

2. 1. 관직 생활과 학술 활동

프랑스 파리시의 부유한 부르주아 가정에서 태어난[3][4] 샤를 페로는 최고의 학교에서 교육받고 법학을 공부하여 23세에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 1651년 오를레앙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했으나, 변호사로서는 단 두 번 변론한 후 그만두었다. 이후 정부 기관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1654년부터는 파리 시 세금징수청장 직위를 매입한 형 피에르와 함께 살았다. 샤를 페로는 과학 아카데미 설립과 회화 아카데미 복원에 참여했으며, 1663년 비문 및 문학 아카데미가 설립되자 초대 서기로 임명되어 루이 14세의 강력한 재무장관 장-밥티스트 콜베르 밑에서 일했다.[5] 그는 콜베르의 신임을 받으며 행정 보좌관 역할을 수행했고, 장 샤플랭, 아마블 드 부르제, 자크 카사뉴 등과 함께 활동했다.

245px


콜베르의 행정 보좌관으로서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1667년에는 건축가였던 형 클로드 페로루브르 궁의 새로운 동쪽 부분인 콜로네이드 설계를 감독하는 소위원회(Petit Conseil프랑스어)에 임명되도록 도왔다.[6] 이 위원회는 루이 르 보, 샤를 르 브륀 등과 함께 1667년부터 1674년까지 콜로네이드 건설을 감독했다. 이 과정에서 당대 최고의 건축가로 명성이 높던 잔 로렌초 베르니니의 설계안이 비용 문제와 페로를 포함한 루이 14세 측근들과의 개인적인 갈등으로 인해 거부되었다.[7][8] 페로는 회고록에서 베르니니와의 껄끄러웠던 관계를 언급하기도 했다.[9]

페로는 예술 분야에도 깊은 관심을 보여, 1668년 루이 14세의 첫 번째 화가인 샤를 르 브륀을 기리는 시 La Peinture|회화프랑스어를 썼고, 1670년에는 루이 14세가 애첩 루이즈 드 라 발리에르 공작 부인을 위해 주최한 축제를 기념하는 Courses de tetes et de bague|머리와 반지 경주프랑스어를 저술했다. 1669년에는 루이 14세에게 베르사유 정원의 베르사유 미궁에 이솝 우화 39편을 주제로 한 분수를 만들도록 제안했다. 이 작업은 1672년부터 1677년까지 진행되었으며, 페로는 1677년 이 미궁의 안내서인 Labyrinte de Versailles|베르사유 미궁프랑스어을 출판했다.[12]

콜베르의 추천으로 1671년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 1672년에는 19세의 마리 귀숑(Marie Guichon)과 결혼했으나, 그녀는 1678년에 사망했다.[11]

페로는 프랑스 문학사에서 중요한 신구논쟁(Quere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고대와 근대의 논쟁)의 주요 인물이었다. 이 논쟁은 고대 작가들을 숭상하는 "고대파"와 루이 14세 시대의 동시대 작가들을 지지하는 "근대파" 사이의 대립이었다. 페로는 근대파의 핵심 인물로서, 고대 문학보다 당대 프랑스 문학의 우수성을 주장했다. 논쟁의 발단 중 하나는 1674년, 페로의 친구인 필립 퀴노가 장-밥티스트 륄리와 협력하여 만든 오페라 알세스트가 전통주의자들에게 비판받았을 때, 페로가 에우리피데스의 원작 비극보다 퀴노의 오페라가 뛰어나다고 옹호하는 Critique de l'Opéra|오페라 비평프랑스어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13] 이후 그는 Le Siècle de Louis le Grand|루이 대왕의 시대프랑스어(1687)와 Parallè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고대와 근대의 비교프랑스어(1688–1692) 같은 저술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펼쳤다. 특히 "루이 대왕의 시대"에서는 루이 14세의 통치 아래 프랑스가 모든 면에서 고대보다 우월하며, 심지어 호머조차도 때로는 졸았다고 주장하며 근대 문학의 성취를 강조했다.

그러나 그의 후원자였던 콜베르가 1683년 사망하자 페로의 정치적 입지는 약화되었다. 이미 1682년에 콜베르는 페로를 은퇴시키고 아들에게 자리를 물려주었으며, 콜베르 사후 그의 정적이던 프랑수아-미셸 르 텔리에, 루부아 후작이 권력을 잡자 페로는 받던 연금마저 끊기고 다른 직위에서도 해임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난 후, 페로는 1686년 놀라의 파울리누스의 생애를 다룬 종교 서사시 Saint Paulin, évêque de Nôle|놀라의 주교 성 파울리누스프랑스어를 발표했으나, 이 작품은 니콜라 부알로-데프레오와 같은 비평가들에게 조롱받기도 했다.

이후 페로는 동화 작가로서 더 큰 명성을 얻게 되지만, 그의 관직 생활과 학술 활동, 특히 신구 논쟁에서의 역할은 17세기 프랑스 문화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는 1703년 5월 16일 파리에서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3. 신구 논쟁

샤를 페로는 프랑스에서 벌어진 신구논쟁(Quere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루이 14세 시대의 문학, 즉 '근대파'(Modernes)의 입장을 지지하며 고전 시대의 문학을 숭상하는 '고대파'(Anciens)를 비판했다.

논쟁의 발단 중 하나는 1674년 작곡가 장-밥티스트 륄리와 대본가 필립 퀴노가 협력하여 만든 오페라 《알세스트》였다. 이 작품이 고전극의 규칙에서 벗어났다는 비판을 받자, 페로는 《오페라 비평》(Critique de l'Opéra)을 발표하여 에우리피데스의 고전 비극 《알케스티스》보다 륄리의 오페라가 더 뛰어나다고 주장하며 근대파의 입장을 대변했다.[13]

페로는 1687년 루이 14세가 위중한 수술에서 회복한 것을 기념하며 《루이 대왕의 세기》(Le Siècle de Louis le Grand)를 발표했다. 이 글에서 그는 루이 14세의 계몽된 통치 덕분에 당대 프랑스가 모든 면에서 고대보다 우월하며, 심지어 프랑스 현대 문학이 호머와 같은 고대 작가들의 작품보다 뛰어나다고 주장하며 논쟁을 더욱 심화시켰다. 그는 "결국 호머조차도 졸았다"고 언급하며 고전의 절대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어서 그는 《고대와 근대의 비교》(Parallè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1688–1692)를 저술하여 자신의 주장을 더욱 발전시켰다.

페로의 이러한 주장은 고대파의 대표적인 인물인 니콜라 부알로-데프레오 등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로 인해 신구 논쟁은 프랑스 지성계의 중요한 논쟁으로 확산되었다.

4. 동화 문학

페로의 초상화, 1685년~1700년경 (보이는 1671년은 그가 프랑스 아카데미에 선출된 해임)


페로1697년 《옛날 이야기 또는 이야기, 교훈과 함께》( 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é, avec des moralitésfre )를 출판하였다. "거위 할머니 이야기"( Les Contes de ma Mère l'Oyefre )라는 부제로 더 잘 알려진 이 동화집은[15] 페로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을 뿐 아니라, 동화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16]

페로의 동화는 유럽의 민간 전승을 바탕으로[15] 당시 프랑스 사회상을 반영하고 교훈적인 내용을 더하여[16] 어린이 독자들도 쉽게 즐길 수 있도록 쓰였다. 이는 아동 문학 발전의 중요한 기점이 되었으며, 비록 동시대에 다울누이 부인 등 다른 동화 작가들도 활동했지만[17][18], 페로의 작품은 특히 폭넓은 대중적 인기와 문학사적 영향력을 확보했다.

신데렐라[19], 《잠자는 숲 속의 미녀》 등 페로의 대표작들은 오늘날까지도 널리 읽히고 있으며, 후대 작가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20] 그의 동화는 단순한 옛이야기 모음을 넘어, 문학적 가치와 교훈을 담아 시대를 초월하는 고전으로 인정받고 있다.

4. 1. 동화집의 구성과 특징

1695년, 67세의 페로는 서기관직을 잃고 자녀들에게 헌신하기로 결심하였다.[24] 그는 이전에 발표했던 운문 동화들을 모아 1695년 《운문으로 된 이야기》(Griselidis, Nouvelle avec le Conte de Peau d'Asne et Souhaits ridicules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재출판하였다. 이 책에는 살롱에서 낭독되거나 잡지에 발표되었던 〈그리젤리스〉(1691), 〈어리석은 소원〉(1693), 〈당나귀 가죽〉(1694) 세 편이 서문과 함께 실렸다.

이어서 1697년에는 산문 동화집인 《옛날 이야기 또는 이야기, 교훈과 함께》( 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é, avec des moralités프랑스어 )를 출판하였는데, 이 책은 《거위 할머니 이야기》( Les Contes de ma Mère l'Oye프랑스어 )라는 부제로 더 널리 알려졌다.[15] "거위 할머니"는 실존 인물이라기보다는 당시 시골에서 전해지는 이야기 전통을 가리키는 표현이었다.[15] 페로는 "원로들"의 비판을 우려하여 이 책을 자신의 막내아들 피에르 다르망쿠르의 이름으로 출판하였다.[24]

이 동화집은 유럽의 민간 전승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페로는 여기에 교훈을 덧붙이고 당시 프랑스의 풍속을 반영하여 어린이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각색하였다. 이 때문에 페로의 동화집은 어린이를 의식하여 쓰인 최초의 아동 문학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당시 살롱에서는 옛날 이야기를 바탕으로 글을 쓰는 것이 유행이었지만, 페로의 작품처럼 어린이 독자를 고려한 경우는 드물었다.[16] 물론 페로의 작품은 "동화(conte de fées)"라는 용어를 만든 다울누이 부인 등 동시대 작가들의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17][18]

페로의 동화집은 출간 즉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동화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의 초석을 다진 것으로 평가받는다.[16] 그는 이야기 속에 주변의 실제 장소나 인물을 모티브로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예를 들어 《잠자는 숲 속의 미녀》의 성은 위세 성을, 《장화 신은 고양이》의 카라바스 후작은 와롱 성(Château d'Oiron)의 후작을 모델로 삼았다.[24] 또한 민담에 당시 유행하던 세부 사항이나 묘사를 덧붙여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페로 동화집은 그림 형제의 《그림 동화》나 마더 구스보다 앞서 민간 전승을 집대성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원형 그대로를 기록하기보다는 독자들이 읽기 쉽도록 각색하는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변경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로의 동화집은 이야기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여겨지며, 특히 《그림 동화》와 중복되는 이야기(예: 《빨간 모자》)에 대한 비교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보카치오 등 페로 이전 작가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빨간 모자》의 경우, 페로는 숲에서 만나는 낯선 사람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명확한 교훈을 담았다. 그는 이야기의 말미에 "가장 위험한 것은 길들여진 늑대"라며, 특히 여성과 어린 소녀들에게 남성의 유혹과 거짓된 모습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21][22] 페로의 원작에서 빨간 모자는 늑대에게 잡아먹히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데, 이는 오늘날 널리 알려진 행복한 결말 버전과는 차이가 있다.[23]

페로는 동화집 출판 이후에도 1699년 라틴 시인 가브리엘레 파에르노의 우화집을 프랑스어 운문으로 번역하는 등 문학 활동을 이어갔다.[25]

'샤를 페로의 동화'의 133페이지 삽화


페로 동화집에 수록된 작품은 다음과 같다.

구분작품명 (프랑스어 원제)
운문 동화 (1695년)그리젤리스 (Griselidis프랑스어)
어리석은 소원 (Les Souhaits ridicules프랑스어)
당나귀 가죽 (Peau d'Âne프랑스어)
산문 동화 (1697년)빨간 모자 (Le Petit Chaperon rouge프랑스어)
장화 신은 고양이 (Le Chat botté프랑스어)
푸른 수염 (La Barbe Bleue프랑스어)
잠자는 숲 속의 미녀 (La Belle au bois dormant프랑스어)
요정들 (보석 공주) (Les Fées프랑스어)
신데렐라 (Cendrillon, ou la Petite Pantoufle de verre프랑스어)
곱슬머리 리케 (Riquet à La houppe프랑스어)
엄지동자 (Le Petit Poucet프랑스어)


4. 2. 동화 연구와 작가 논쟁



페로의 동화는 유럽의 민간 전승을 바탕으로, 여기에 교훈을 덧붙이고 당시 프랑스의 풍속을 반영하여 어린이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각색되었다.[15][16] 이 때문에 페로의 동화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쓰인 최초의 아동 문학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당시 프랑스살롱에서는 옛 이야기를 바탕으로 글을 쓰는 것이 유행이었고, 다울누이 부인처럼 페로보다 앞서 동화를 쓴 작가들도 있었으나[17][18], 이들의 작품은 어린이가 읽기에는 다소 어려운 경향이 있었다. 페로의 동화집은 그림 형제그림 동화나 마더 구스보다 앞서 민간 전승을 집대성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크지만,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각색 과정에서 원형 그대로의 모습과는 다소 거리가 생겼다는 평가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로의 동화는 이야기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여겨지며, 특히 『그림 동화』와 내용이 겹치는 『빨간 모자』 등은 비교 연구의 대상이 된다. 또한 페로의 동화는 조반니 보카치오 등 이전 작가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작가 시부사와 료이치는 페로의 동화를 『그림 동화』와 비교하며 "고색창연한 멋이 있다"고 평하기도 했다.

페로가 쓴 동화 중 일부는 시간이 흐르면서 내용이 변형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오늘날 널리 알려진 《잠자는 숲 속의 미녀》 이야기 중 일부는 페로의 원작보다는 그림 형제가 수집한 "가시나무 공주" 이야기에 더 가깝다.[20] 《빨간 모자》의 경우, 페로는 숲에서 만나는 낯선 사람의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해 이 이야기를 썼다. 그는 이야기 끝에 도덕적 교훈을 덧붙여, 남자를 쉽게 믿는 것의 위험성에 대해 여성과 어린 소녀들에게 경고했다. 그는 "길들여진 늑대가/모든 것 중 가장 위험하다는 것을/배우지 못했다면 조심하라"고 말하며[21], 일부 남성들이 보이는 교활함과 거짓된 모습에 대해 경고했다. "나는 늑대라고 말한다. 모든 늑대가 같은 종류는 아니기 때문이다. 온순한 성격을 가진 종류가 있는데, 시끄럽지도, 미워하지도, 화내지도 않고, 온순하고, 친절하고, 부드러우며, 길거리에서 심지어 집 안까지 어린 소녀들을 따라다닌다. 아아! 이러한 온순한 늑대들이 모든 생물 중에서 가장 위험하다는 것을 누가 모르겠는가!"[22] 페로의 원작에서 소녀는 늑대에게 잡아먹히며,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행복한 결말은 존재하지 않는다.[23]

페로는 먼저 운문으로 된 이야기 『그리젤리디스』(1691년 발표), 『어리석은 소원』(1693년 발표), 『당나귀 가죽』(1694년 발표)을 차례로 선보였다. 이후 1697년, 산문 동화집 『교훈이 담긴 옛날 이야기, 또는 콩트 모음 - 거위 아줌마 이야기』(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é, avec des moralités : Contes de ma mère l'Oye프랑스어)를 출판했다. 이 산문 동화집의 실제 저자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초판에는 저자 이름이 없었고, 두 번째 판 서문에는 페로의 막내아들 피에르 다르망쿠르(Pierre Darmancour)의 이니셜만 적혀 있었다.[24] 당시 아카데미 회원으로 명성이 높았던 페로가 '고전파'의 비판을 의식하여 어린이들을 위한 이야기를 썼다는 사실을 숨기려 아들의 이름을 빌렸다는 설과, 애초에 동화집 출판 자체가 아들의 아이디어였다는 설 등이 제기된다. 하지만 페로가 이 동화집 작업에 깊이 관여했다는 점은 학계에서 대체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이야기 속 배경 묘사에 주변의 실제 장소를 활용하기도 했는데, 《잠자는 숲 속의 미녀》의 성은 위세 성을, 《장화 신은 고양이》의 카라바스 후작은 오이롱 성의 후작을 모델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1953년에는 이 동화집의 1695년판 필사본이 발견되기도 했다. 동화집 출판 이후인 1699년, 페로는 라틴 시인 가브리엘레 파에르노의 우화집 ''Fabulae Centum''을 프랑스어 운문으로 번역하기도 했다.[25]

페로의 동화 연구에 기여한 주요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 이름
마르크 소리아노 (Marc Soriano)
질베르 루주 (Gilbert Rouget)
폴 드랄뤼 (Paul Delarue)


5. 페로 동화의 영향

페로 동화는 오늘날에도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음악, 영화, 연극, 오페라 등 다양한 예술 분야의 소재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잠자는 숲 속의 미녀》는 월트 디즈니에 의해, 《장화 신은 고양이》는 도에이 동화에 의해 각각 극장 애니메이션 영화로 만들어졌다. 장화 신은 고양이 시리즈도 관련 정보로 참고할 수 있다.

6. 한국에서의 수용과 영향

(작성할 내용 없음)

참조

[1] 웹아카이브 Biography, Bibliography https://web.archive.[...] 2006-01-14
[2] 서적 Perrault's Morals for Moderns Peter Lang Publishing Inc.
[3] 논문 Perrault family: (3) Charles Perrault
[4] 뉴스 UPI Almanac for Tuesday, Jan. 12, 2021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21-01-12
[5] 서적 The World's Best Fairy Tales The Reader's Digest Association 1977
[6] 서적 A Royal Passion: Louis XIV as Patron of Archite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Bernini: His Life and His Rom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서적 Bernini: His Life and His Rom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학술지 Perrault's Memoirs and Bernini: A Reconsideration 2013
[10] 기타 portrait of 1671, now at the Musée de Versailles File:Charles Perraul[...]
[11] 서적 The Complete Fairy Tales https://global.oup.c[...] Oxford World's Classics 2010
[12] 웹사이트 scan of the book at the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http://gallica.bnf.f[...] Gallica.bnf.fr 2007-10-15
[13] 서적 Alceste suivi de La Querelle d'Alceste Droz
[14] 웹사이트 Charles Perrault's 388th Birthday https://doodles.goog[...] Google Inc. 2016-01-12
[15] 서적 The Complete Fairy Tales of Charles Perrault Houghton Mifflin Harcourt
[16] 웹사이트 Charles Perrault: the modern fairytale's fairy godfather https://www.theguard[...] 2016-01-12
[1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Naissance du conte féminin, Mots et merveilles, Les contes de fées de Madame d'Aulnoy, 1690–1698 Champion
[19] 웹사이트 The many versions of Cinderella: One of the most ancient fairy tales http://www.swide.com[...] Dolce&Gabbana 2015-02-21
[20] 뉴스 Who was Charles Perrault? Why the fairy tales you know may not be as they seem https://www.telegrap[...] 2016-01-12
[21] 서적 Tales of Mother Goose
[22] 뉴스 Who was Charles Perrault? Why the fairy tales you know may not be as they seem https://www.telegrap[...] 2016-01-12
[23] 웹사이트 Little Red Riding Hood {{!}} Charles Perrault http://www.pitt.edu/[...] University of Pittsburgh 2003-09-21
[24] 서적 Charles Perrault, le fantôme du XVIIe siècle Draveil, Colline
[25] 기타 The 1753 London re-edition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